문화사에서 정리만 잘 해놓는다면 70점을 맞기 수월하기 때문에 따로 파일을 올려드릴게요.
꼭 붙으시길 바랍니다!
이 포스트의 맨 아래 파일이 업로드되어 있습니다. 활용하세요.
▶ 삼국의 고분 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
ㆍ고구려 - 돌무지무덤(석총): 장군총(벽화×) → 토총(흙무덤) - 굴식돌방무덤: 강서고분(사신도),
쌍영총(여인도,무사도,우차도,서역영향 받음), 무용총(무용도,수렵도), 각저총(씨름도),
삼실총(무사,역사의 벽화)
ㆍ백제 - 한성시대(돌무지무덤: 석촌동구분-장군총영향; 고구려 유이민설의 근거)
웅진시대(굴식돌방무덤, 벽돌무덤: 무령왕릉- 양나라의 동전 출토.남조의 영향)
사비시대(굴식돌방무덤: 능산리2호분-세련)
ㆍ신라 - 돌무지덧널무덤: [천마총: 천마도(벽화×)], [황남총: 왕비의 능으로 추정, 금관 방추차등 출토],
[호우총 → 벽화×, 호우명그릇(신라와 고구려의 관계)]
ㆍ통일신라 - 굴식돌방무덤(호석+12지신상;도교적 요소): 김유신묘, 화장무덤, 해중릉(불교식, 문무왕릉)
ㆍ발해 - 벽돌무덤: [정효공주묘 - 당의영향,벽화ㅇ, 도교적요소: 4,6변려체안의 불로장생]
굴식돌방무덤: [정혜공주묘 - 고구려영향, 벽화ㅇ, 천장:모줄임 구조, 도교적요소: 4,6변려체안의 불로장생]
ㆍ가야 - 벽화ㅇ
※통일 전 신라의 벽화는 거의 없다고 보는 것이 좋다.
★무령왕릉 - 1971년 공주 송산리 고분에서 처녀 발굴. 벽돌무덤. 중국 남조양식. 지석(현존 최고의 지석),
토지매지권(최초, 도교적 요소), 제7호분.
▶ 금석문 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
ㆍ고구려 - 광개토대왕비(장수왕): 건국신화(동명왕편보다 먼저 기록), 정복활동, 쪽바리의 임나일본부설 주장.
중원고구려비(장수왕): 고구려왕이 신라왕(매금)을 만나 충북중원 고구려땅 확인, 5c 3국의 역학관계를 보여줌. 신라를 동이로 칭함(고구려와 신라의 역학관계, 장수왕의 남하정책)
ㆍ백제 - 무령왕릉지석(남북조시대의 해서체), 사택지적비(의자왕, 도교사상)
ㆍ신라 - 영일냉수리비(지증왕): 재산분쟁에 관한논의, 신라최고의 비석
울진봉평신라비(법흥왕): 율령관계 수록, 단양적성비(진흥왕): 한강상류 진출, 충북단양.
진흥왕 순수비: 신라의 관제연구에 도움 - 북한산비(한강유역), 창녕비(대가야정벌),
황초령비(원산만 진출), 마운령비(원산만진출)
암기법: 냉수봉단북창황마.
임신서기석 - 화랑도(의리)연구, 한자사용연구(춘자상시서예~)
ㆍ조선 - 백두산정계비(숙종): 조선과 청의 경계선 확정, 간도 귀속문제
※금석문 중 가장 오래된 것 - 점재현신사비(AD85년)
▶ UNESCO 지정 문화재 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
ㆍ지정 세계문화유산: 불국사(석굴암), 종묘, 해인사장경판전(팔만대장경), 창덕궁, 화성(1997)
고인돌(2000), 경주고적지구(2000)
ㆍ지정 기록문화유산: 조선왕조실록(1997), 훈민정음(1997), 승정원일기(2001), 직지심경(2001)
ㆍ지정 무형문화유산: 판소리(2003), 종묘제례 및 종묘제례악(2001)
▶ 대장경과 활자 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
ㆍ제1차 대장경(=초조대장경): 거란대비, 몽고 침입때 소실, 대구 부인사와 일본에 일부 전함.
ㆍ속장경(불서목록;신편제종교장총록): 의천이 수집해서 만듦, 흥왕사「교정도감」’설치, 선종(×)
몽고 3차 침입때 소실, 송광사에 일부 전함
ㆍ제2차 대장경(=8만대장경=재조대장경): 몽고침입시 최우가 강화도(대장도감)에서 조판,
선원사에 보관→조선초기에 해인사로 이전
ㆍ금속활자 - 상정고금예문: 전하지 않는 세계최고의 금속활자 본
직지심체요절: 현전하는 세계최고의 금속활자 본(청주‘흥덕사’, 현재 프랑스 국립도서관)
▶ 호국신앙 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
황룡사9층탑(선덕여왕때 아비지(백제)가 건축, 몽고 때 소실), 인왕경, 팔관회, 왕흥사(백제 무왕),
감은사(문무왕시작 →신문왕완공, 문무왕이 해룡이되어 신라를 보호한다는 고사(만파식적), 전제왕권 확립(신문왕)
세속오계(원광이 화랑도계율로 지음), 백고자회(고려시대 호국신앙적 불교행사), 대장경(불심의 힘으로~!!)
화랑: 군사적 단체, 화랑도 정신(최치원의 난랑비문(유불선 3교의 현묘한 도), 세속오계, 임신서기석)
계급간의 갈등을 완화하는 기능, 사회 중견인 양성하는 기능
▶ 도교적 요소(무위자연, 현세구복, 불로장생의 사상) 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
ㆍ고구려: 사신도, 연개소문의 장려 ⇔ 보덕은 도교의 불로장생사상에 대항하여 열반종 개창하여 백제에 전파.
ㆍ백제: 산경문전, 사신도, 사택지적비, 무령왕릉 지석
ㆍ신라: 세속오계, 최치원의 사산비분, 국선․풍월․풍류도라는 화랑도의 명칭.
ㆍ발해: 정효공주 비문 ․ 정혜공주 비문 ; 4.6 변려체안의 불로장생.
ㆍ고려: 첨성단, 도관(도교사원)
ㆍ조선: 원구단(천자가 하늘에 제사를 드리는 제천단)
▶ 문화의 유형 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
ㆍ고구려: 힘, 패기, 정열의 사실적 표현
ㆍ백제: 우아함, 세련미, 그러나 토착문화를 충분히 발전 시키지 못함.
ㆍ신라: 소박한 전통 → 통일신라: 엄격함과 조화미, 정제미. 조형미술의 발달.
ㆍ발해: 고구려문화를 바탕으로 당문화 수용, 귀족문화의 발달, 고구려보다 부드러우면서도 웅장하고 견실.
석등: 8각의 기단위에 중간의 볼록한 간석, 간석위에는 탐스러운 연꽃이 조각되어있어 힘찬 느낌.
당적 요소(수치가 나오면 당적요소.예외-5경제.) | 고구려적 요소(불교적인것, ‘오’발음) |
3성 6부, 주작대로, 15부 62주, 관등제, 동경성 축조, 잠자는 미녀상, 정효공주묘(벽돌무덤) |
5경제, 궁전지의 온돌장치, 천장의 모줄임구조, 사원지의 불상양식, 와당의 연화문, 석등, 발해음악, 정혜공주묘(굴식 돌방무덤) |
ㆍ고려: 유교문화와 불교문화의 융합,공예미술의 발달(나전칠기, 고려자기, 불교미술 등)
※중국에서 전래되어 우리나라에서 더욱 발전된 문화: 나전칠기, 대성악(아악)
ㆍ조선: 유교적 검약으로 건물규모를 법적으로 제한하고 자연미와 주위환경 조화를 중시.
▶ 건축 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
◈ 탑
ㆍ백제: 백제의 탑들은 탑의 기둥에 엔타시스 수법을 사용함.
익산 미륵사지탑(최고 최대, 목조형 석탑), 부여 정림사지5층석탑(전형적인 석탑양식)
ㆍ신라: 황룡사9층목탑(아비지, 몽고때 소실, 호국사상), 분황사 모전석탑(최초의 전(벽돌)탑), 첨성대, 천마총
ㆍ통일신라: 높은 기단위에 세운 3층 석탑이 유행.불국사 3층석탑, 화엄사4사자3층석탑(석굴암),감은사지 3층 석탑
ㆍ고려: 다각다층의 여러 가지 형식 시도.
[흥국사지 석탑, 현화사7층석탑 → 신라계승], 월정사8각9층탑(송에 영향받음),
경천사10층석탑(목조건축양식, 원에 영향받음), [익산 왕궁리 5층석탑, 부여 무량사 5층석탑 →백제 계승],
불일사5층석탑(고구려 계승)
ㆍ조선: 원각사10층석탑(경천사10층탑의 영향받음), 법주사팔상전(현존하는 국내최고의 목탑)
♠부도(선종의 유행)
ㆍ신라: 형태-팔각당형의 전형적 승탑형식. 신라하대에 선종이 유행하면서 많이 만들어짐.
ㆍ고려: [8각 원당형: 공주 갑사부도, 구례 연곡사지 북부도, 여주 고달사지 원종대사 혜진탑]
[8각 원당형+구형탑신: 정토사 흥법국사 실상탑, 8각원당형+평면사각형탑신: 법천사 지광국사 현묘탑]
ㆍ조선: 고승 대덕에게만 허용되던 승탑이 주지승들에게까지 허용되어 엄청 만들어진다네~.
◈ 건축물
◉ 통일신라
석굴암: 불교세계의 이상. 통일신라시대의 대표적 건축물. 불국사: 경덕왕~혜공왕때 완성.
안압지: 경주 궁성 안의 인공연못. 화려한 궁중생활과 귀족생활.
◉ 고려시대 건축양식
주심포양식: 통일신라시대 이래 전해와 고려전기 유행. 맞배지붕이 대부분이면서 장중하고 우아하며 간소함.
다포양식: 원간섭기 이후 전해와 조선 전기 유행. 팔작지붕이 대부분이고 주심포보다 화려하고 장엄.
- 봉정사극락전(최고의 목조건축물, 주심포양식), 부석사무량수전(신라계승한 고려의 대표적 건축물, 주심포),
부석사조사당, 수덕사대웅전, [원영향 다포양식; 석왕사응진전, 성불사응진전], 심원사보광전(다포양식)
◉ 조선시대 건축
특징: 유교적 검약으로 건물규모를 법적으로 제한하고 자연미와 주위환경 조화를 중시
ㆍ15c: 궁궐, 성곽, 성문, 학교건축 중심(경북궁, 숭례문...), 해인사 장경판전.
ㆍ16c: 서원건축중심(경주의 옥산서원,안동의 도산서원, 해주석담의 소현서원)
ㆍ17c: 사원건축중심(금산사 미륵전, 화엄사 각황전, 법주사 팔상전)
ㆍ18c: 불국사 대웅전, 수원성(정약용, 거중기이용),
부농과 상인의 지원으로 그들 근거지에 장식성이 강한 사원건축 - 논산 쌍계사, 부안 개암사, 한성 석남사
ㆍ19c: 경복궁 중건(대원군),광화문(복원)ㆍ20c:덕수궁석조전
▶ 조각․공예품 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
ㆍ고구려: 연가칠년명금동여래입상(북조에 영향 받음), 금동미륵반가상
ㆍ백제: 서산마애삼존불상(온화미,엷은미소), 금동미륵반가상, 금동대향로(불교,도교,유교?)
ㆍ신라: 금동미륵반가상(가장 세련, 일본에 영향미침)
ㆍ통일신라: 조각 - 석굴암(불국사), 만불산(경덕왕때 만든 인조산), 불상(석굴암의 석가본존여래상,
불국사의 비로자나불좌상, 백률사의 약사여래상), 무령왕릉비
공예 - 범종: 상원사 동종(성덕왕), 성덕대왕 신종(에밀레종)
나전칠기(당에서 수입하나 고려때는 더 역수출), 은입사(송에서 유입)
ㆍ고려: 조각 - 신라에 비해 뒤떨어진다. 논산 관촉사은진미륵불(최대,지방문화상징), 철불주조가 유행
불균형, 무형식, 자유분방을 특징. 부석사소조아미타여래좌상(고려시대대표불상).
ㆍ조선시대: 생활필수품 중심, 값싼 재료 이용, 소박하고 견고
◈ 자기의 발달(순ㆍ음ㆍ상ㆍ분ㆍ청ㆍ철)
순수청자(11c) → 음악청자 → 상감청자(12~13c) → 분청사기(15c전후) →
순수백자․청화백자(16c) → 철사백자․진사백자(17~18c)
※서긍‘고려도경’에서는 고려자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서도 상감청자에 대한 언급이 없다.
▶ 사관과 역사서 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
고려전기 - 유교적 역사서술체가 확립. 고려후기 - 자주의식을 바탕. cf> 원부,허공 ‘고금록’; 고려후기
ㆍ고려시대 - 유교사관: 황주량 7대실록(거란의 침입, 현종, 부전), 박인량‘고금록’, 김부식‘삼국사기’
자주사관: 이규보‘동명왕편’(고구려건국의 시조), 일연‘삼국유사’(단군신화),
이승휴‘제왕운기’(발해역사, 단군신화), 각훈‘해동고승전’(한국 불교사 정리)
성리학적사관: 여말-이제현‘사략’, 선초-정도전‘고려국사’, 권근‘동국사략’
신흥사대부 역사관: 유교의 합리주의와 정통의식, 대의명분 중시. - 원부.허공 ‘고금록’,
민지‘본조편년강목’, 정가신‘천추금경록’.
※삼국사기와 삼국유사의 구별
ㆍ삼국사기 - 김부식(12C), 관천사서, 기전체, 삼국시대 기록 유일한 정사, 신라에 편중, 중국중심적,북진정책좌절
ㆍ삼국유사 - 일연(고려 충렬왕), 기사본말체, 내용(민간설화, 단군신화), 불교입장+신라중심, 자주적 사관
cf) 기전체; 본기(왕의 업적), 세가(중요가계). 지(모든제도). 열전(신하의 전기)등으로 구분.- 삼국사기, 고려사, 해동역사
기사본말체; 사건마다 실증사학적으로 기술 - 삼국유사, 연려실기술
편년체; 年․月․日, 시간적 순서. - 삼국사절요, 고려사절요, 동국통감, 조선왕조실록(실록,절요,통감은 모두 편년체)
ㆍ조선시대 - 15c의 역사서: 성리학적 명분론 + 민족적 자주․자존의힉(단군을 민족의 시조로)
고려국사(정도전,조선건국의 합리화,편년체),동국사략(권근,편년체),조선왕조실록(춘추관, 편년체),
고려사(군주중심의 역사서술, 기전체), 고려사절요(고려사 보충, 신하적 입장에서 서술, 편년체),
삼국사절요(서거정,세조의 왕권강화와 부국강병의 목적),
동국통감(서거정,성종. 최초의 통사, 성리학적 명분론에 입각하면서도 자주적)
- 16~17c의 역사서: 15c 역사관 비판 + 왕도정치강조 + 사림의 존화주의적 경향
동국사략(박상, 성리학적이념), 기자실기(이이, 왕도정치의 기원을 기자에서 찾음)
- 18c 이후의 역사서: 민족의식의 고취 + 전통문화에대한 자부 + 민족의 정통성
※뒤로 갈 수록 더욱 자주적이고 민족적이다: 동국통감<동사강목<해동역사
동사강목(안정복, 한국사의 독자적 체계, 성리학적이지만 자주적, 편년체),
해동역사(한치윤, 중국 등 외국사서를 인용, 정통사체에 대한 인식을 심화.)
[동사(이종휘),발해고(유득공)]-고대사 연구의 시야를 만주지방까지 확대(반도 중심의 역사관 탈피)
규사(이진택, 서얼의 역사서), 연조귀감(이진흥, 향리출신의 역사서)
ㆍ근대사학 - 민족주의 사학: 신채호‘독사실론’, 박은식‘한국통사’, 정인보‘조선사연구’.
※고조선건국신화(단군신화)가 나와있는 책들(암기법: 제동강목세종유사응)
제왕운기,동국여지승람,신증동국여지승람,동국역대총목, 동국통감, 동사강목, 세종실록지리지, 삼국유사, 응제시주
※발해사 연구서적
이승휴의 ‘제왕운기’(발해를 우리민족의 역사로 최초로 다룸)
본격적연구: 조선후기 실학자, 민족사학자들이 연구. - 유득공‘발해고’, 이중휘‘동사’, 정약용‘아방강역고’,
한치윤‘해동역사’, 서상우‘발해강역고’, 홍석주‘발해세가’등.
◈ 조선왕조실록
1차사료(사초, 시정기)를 바탕으로 하여 편찬.
태종 때 ‘태조실록’편찬. 세종 때 ‘정종․태종실록’ 편찬.
<선조, 현종, 경종>은 수정(삭제)실록 존재. 왕은 볼 수 없었고 사가의 주관 개입이 가능하였다.
4대사고(세종) → 5대사고(전주사고를 광해군때 정비: 춘추관, 오대산, 태백산, 정족산, 적상산)
↑(임진왜란) → 2개(서울-전주사고(원본), 부산), 1개(김일성 대학)
※선원록: ‘선원계보기략’. 조선왕실의 족보. 숙종때 처음 간행.
▶ 개화시책에 영향을 준 서적 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
일동기유(김기수, 1차수신사 후 저술, 신문명에 대한 조심스런 비판),
조선책략(황준헌, 2차수신사 김홍집이 들고옴, 러시아 남하 방지책으로 친중국,결일본,연미방 해야함. 조미수호통상조약에 영향을 줌.→ 이만손<영남만인소>, 성현모독부분.)
이언(정관응, 기술뿐만 아니라 정치제도등도 받아들여함을 강조)
▶ 각종 서적 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
◈ 법전(암기법: 조경속, 정경속, 대대육)
태조 태조 태종 세종 성종 영조 정조 (대원군)고종 (대원군)고종
조선경국전 →경제육전 → 속육전 → 정전 → 경국대전 → 속대전→ 대전통편 → 대전회통→ 육전조례
정도전 정도전, 조준 하륜 (육전등록), 집현전 최항, 노사신 김재로 김치인 조두순
ㆍ경국대전: 세조시작~예종완성, 성종 때 반포, 재산의 자녀 균분상속(단, 장남은 +20%),
토지․가옥의 사유권 보장, 연좌제가 채택(→갑오개혁때 폐지)
※ 조선시대에는 기본법전으로 경국대전을 정비하였으나 실제로는 관습법과 대명률(명나라 형법)을 중시.
◈ 의학서적
ㆍ고려: ※『향약구굽방』- 고려(고종), 현존 최고의 의학서
ㆍ조선: 향약집성방(태조), 신주무원록(세종); 법의학서, 동의보감(광해군); 조선최대의서,
동의수세보원(고종); 이제마, 인체를 성격에따라 태양․소양․태음․소음의 사상으로 나눔(사상의설)
◈ 지리서적
ㆍ조선전기 - 정치․군사․행정적 목적(중앙집권과 국방의 강화)
팔도지리지(세종실록에 수록, 각 지방의 연혁, 호구, 토상등이 기록), 세종실록지리지(팔도지리지 정비)
동국여지승람(성종, 단군신화), 신증동국여지승람(동국여지승람을 증보, 현존), 역대제왕혼일강리도(세계지도)
ㆍ조선후기 - 경제․문화의 인문지리적 성격
역사지리서: 동국지리지, 강계고, 아방강역고(정약용)
인문지리서: 택리지(이중환, 각지방의 자연환경, 인물, 풍속, 인습 등을 흥미있게 서술)
지도제작: 대동여지도(김정호, 서구적 기술을 도입하여 정밀하게 표시, 군사지도적 성격)
동국지도(정상기, 영조때. 처음으로 백리척의 축척법을 사용, 8도 분도)
◈ 백과사전류
지봉유설(이수광), 성호사설(이익, 삼한정통론, 역사적 문물을 해석), 동국문헌비고(홍봉한, 영조때.)
동문휘고(정조때 조선시대 외교관계문헌을 수집.정리)
◈ 농서
고려말 농상집요 이암(소개): 독자성× |
조선초 농사직설 정초: 직파법 권장. |
조선후 농가집성 신속: 이앙법 소개. |
ㆍ조선전기: 농사직설(세종, 정초, 현존최고의 농서로서 우리실정에 맞게 수록, 직파법권장)
사시찬요(세조, 강희맹, 계절에 따른 토지관리 및 파종법),
금양잡록(성종, 강희맹, 경기도 농민들의 경험토대)
구황촬요(기근에 대비한 농업서적, 도토리, 나무껍질을 먹는 방법제시)
ㆍ조선중기: 농가집성(신속, 모내기법에 공헌, 조선전기의 농서를 집대성), 색경(숙종, 박세당, 중농학자 농서)
ㆍ조선후기: 산림경제(숙종,홍만선,중상학자),과농소초(정조,박지원,농업기술과 농업정책을 논하고,한전법을 제시)
임원경제지(서유구, 농업기술과 산업전반에 관한 백과사전)
▶ 회화 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
ㆍ고려: 혜허(양류관음상도), 이령(예성강도), 공민왕(청산대렵도)
조선시대 3大화가 - 안견, 김홍도, 장승업
ㆍ15c: 인물산수화, 진취적, 씩씩하고 낭만 - 안견(몽유도원도-도원이라는 이상세계를 그려냄),
강희안(고사관수도-인간의 내면세계 표현, 문인화가)
ㆍ16c: 사군자, 자연속에서 서정적인 아름다움을 찾음. - 이암(당견도, 화조묘구도),
이상좌(노비출신, 송아보월도- 인간의 강인함 표현)
ㆍ17c~18c:진경산수화 발달(18c초) - 정선(금강전도, 인왕제색도)
ㆍ18c 후반 특징: 실학적 화풍, 서양화법 영향, 풍속화, 민화발달
- 김홍도(씨름, 서당. 배경없는 농촌 생활상 묘사, 간결하고 소박한 필치),
신윤복(주로 도시의 여인 묘사, 배경 있음, 섬세하고 세련된 필치.)
ㆍ18c 말: 원근법 등 서양화법 영향.- 강세황(난죽도)
ㆍ19c 특징: 실학적 화풍 쇠퇴, 복고적 화풍 - 장승업(군마도, 관인화가), 김정희(세한도)
▶ 과학기술 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
ㆍ조선전기 -과학기구: 앙부일구(해시계, 세종), 자격루(물시계, 세종), 측우기(강우량측정, 세계최초, 세종),
규형(인지의; 양전, 지도제작에 이용, 세조), 천체관측(혼천의, 간의)
무기: 거북선(태종(귀선)), 비거도선, 화포, 화차, 비격진천뢰.
역법: 달력- 칠정산내외편 작성(독자성)
병서: 진도(태조, 정도전이 지음), 병장도설(세종, 그림으로 설명한 군사훈련 지침서),동국병감(문종)
ㆍ조선후기 - 서양문물: <곤여만국전도>; 세계지도, 진취적 세계관.
천문학: 지전설(김석문, 홍대용, 이익, 정약용), 지봉유설(이수광, 백과사전, 일식.월식.조수. 설명)
⇒ 중국중심의 세계관을 탈피하는데 영향을 줌.
▶ 중국에서 전래되었던 문화 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
ㆍ당 → 통일신라: 나전칠기(고려는 송으로 수출)
ㆍ송 →고려: 인쇄술(의천에 의해 속장경 조판),은입사,월정사 팔각9층석탑,대성악, 도자기(암기법: 송인은월정대도)
ㆍ원 → 고려: 화약(최무선이 이원주고 배움), 수시력(역법, 칠정산내외편), 목화(문익점), 임제종(보우),
송설체(조맹부의 서체), 경천사지 10층석탑(라마불교영향, 원각사지 10층석탑의 원형),
농상집요(이암이 소개), 성리학(충렬왕때 안향이 전래), 천산대렵도, 석왕사 응진전(다포양식)
▶ 각종 개인 저서 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.
ㆍ정도전: 경제문감, 경제육전, 고려국사, 조선경국전(왕조의 기틀마련), (암기법: 경고불조심!)
[불씨잡변, 심기리편 - 불교배척 및 도교비판],
ㆍ세종대왕 때 간행된 서적: 삼강행실도, 농사직설, 사시찬요, 고려사, 의방유취, 칠정산내외편, 팔도지리지,
향약집성방,용비어천가, 석보상절, 월인천강지곡. (암기법: 삼사고유칠팔)
◈ 중농학자
ㆍ정약용: 『여유당전서』500여권: 3부작 - 목민심서(지방관의 도리), 경세유표(정치조직에 대한 의견),
흠흠신서(형옥 담당 관리)
3논설 - 탕론(왕조교체의 가능성), 원목(정치의 근본과 목민관 강조),
전론(공동소유, 공동생산, 노동량에 따른 분배)
‘기예론’(북학파의 이용후생설과 같은 주장)
ㆍ유형원: ‘반계수록’(균전제와 과전제 실시 주장)
ㆍ이익: ‘성호사설’(한전제 주장-토지소유의 평등 요구),
6좀론(노비제도, 과거제도, 양반문벌제도, 기교(사치,미신), 승려, 게으름)
ㆍ박세당‘색경’, 홍만선‘산림경제’, 서유구‘임원경제지’
◈ 중상학자
ㆍ유수원: ‘우서’-농업의 전문화와 상업화, 농업생산력의 증대. 대상인의 지역사회 개발 참여
ㆍ홍대용: ‘임하경륜’(균전제 주장), ‘의사문답’(지전설 주장: 중국중심의 세계관 탈피)
ㆍ박지원: ‘열하일기’, ‘과농소초’, ‘한민명전의’, ‘양반전’ - 화폐유통의 필요성, 수레와 선박의 이용.
ㆍ박제가: ‘북학의’, 절약보다 소비촉진(우물)
꼭 한국사 1급 자격증 획득하시길 바랍니다! 다운 받아가실 땐 하트와 댓글 부탁드려요!
'공기업 취업관련 > 자격증관련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공기업 취업을 위한 한국사능력시험 대비 한국사 연표 요약 정리본! (2) | 2019.05.05 |
---|---|
한국사능력검정시험 대비 한국사 요약정리본! (공기업 취업 자격증) (0) | 2019.05.04 |